본문 바로가기
임시보관함

한음연보(漢陰年譜)

by Hhgj 2019. 8. 27.

 

왕력 서기 연령 기사
명종 16 1561 1
2월 12일, 서울 남부 성명방 외가에서 태어나다. (서울시 중구)
선조 7 1574 14
영평 우두연에서 양사언 형제와 유람하다. ○ 이귀, 박경신 형제와 지사 윤우신의 문하에서 수업하다.
선조10 1577 17
겨울, 한산이씨와 혼인하다.
선조 11 1578 18
사마시에 합격하다. ○ 백사 이항복과 정교하다.
선조 13 1580 20
3월, 부묘별시에 합격하다. 이정립, 이항복과 함께 ‘경진삼리’로 불리다. ○ 승정원의 권지부정자가 되다.
선조 15 1582 22
6월, 율곡의 추천으로 이항복, 오억령 등과 함께 상의 「강목」강독을 맡다.
선조 16 1583 23
저작이 되다. ○ 사가독서하다. ○ 정자가 되다.
선조 17 1584 24
봄,서총대 응제에서 장원하다. ○ 박사가 되다.
선조 18 1585 25
평안도 어사가 되다. ○ 정언, 부교리가 되다.
선조 19 1586 26
이조 좌랑이 되다.
선조 20 1587 27
교리를 거쳐 직강이 되다. ○ 사가독서하다.
선조 21 1588 28
이조 정랑이 되어 선위사에 차임되다. 동래에 내려가 왜사 현소(겐소) 등을 빈접하다.
선조 22 1589 29
상주에 들러 조비(죽은 할머니)김씨를 성묘하고, 김홍민 형제 등과 북계에 유람하다. ○ 7월, 왜사와 입경하다.
선조 23 1590 30
왜사를 반송하여 동래까지 가다. 이어 통신사 황윤길 등을 부산포에서 전송하다. ○ 직제학에 초배되다. 이후 동부승지, 대사간, 대사성, 이조 참의를 지내다.
선조 24 1591 31
1월, 안협현에 성친(고향에 돌아가 부모에게 문안을 올리는 일)하다. ○ 2월, 다시 대사간이 되다. ○ 7월, 양관 대제학, 지성균관사가 되다.
선조 25 1592 32
2월, 대사헌이 되다. 곧 체직되어 지중추부사가 되다. ○ 왜적이 침입하자(임진왜란), 건저의 논을 앞장서서 주장하여 광해군을 세자로 세우게 되다. ○ 5월, 중국에 원병을 청하길 계청하다. ○ 6월, 대사헌이 되다. ○ 단기로 대동강에서 현소(겐소), 평조신(야나가와 시게노부)과 만나다. ○ 어가를 호종하여 숙천, 영변을 거쳐 정주에 이르러 청원사를 자청, 명 나라로 가서 파병의 일을 성사시키다. ○ 12월, 한성 판윤이 되었다가 접반사에 차임되어 제독 이여송과 만나다.
선조 26 1593 33
1월, 이여송과 함께 평양을 수복하다. ○ 4월, 입경하였다가 곧 남하하다. ○ 형조 판서가 되다. ○ 훈련도감 부제조가 되다. ○ 11월, 병조 판서가 되다.
선조 27 1594 34
5월, 모친상을 당하다. 특명으로 기복(상을 당해 휴직 중인 관리를 복상기간 중에 직무를 보게 하던 제도)하다. ○ 11월, 이조 판서가 되다. ○ 시무 8조를 올리다.
선조 28 1595 35
2월, 다시 병조 판서가 되다. ○ 10월, 경기, 황해, 평안, 함경 4도의 부체찰사가 되다.
선조 29 1596 36
2월, 남한산성의 수축을 청하다. ○ 7월, 이몽학의 난에 무고로 대죄하다. ○ 10월, 병조 판서가 되다.
선조 30 1597 37
1월, 왕명으로 복수군을 모집하다. ○ 2월, 통제사 이순신이 하옥되자 신구(죄가 없음을 사실대로 밝혀 구원)하다. ○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7월에 좌찬성으로서 경리 양호의 접반사가 되어 의주로 달려가다. 양호를 설복하여 서울의 방호에 전력, 직산에서 왜적을 물리치다. ○ 12월, 양호를 따라 남정하다. 도중에 이조 판서에 제수되다.
선조 31 1598 38
4월, 우의정이 되다. ○ 7월, 양호를 개성부까지 따라가서 전송하다. ○ 왕명으로 제독 유정을 따라 南征하다. ○ 10월, 좌의정이 되다.
선조 32 1599 39
1월, 상소하여 붕당의 조제(합의, 조정)를 청하다. ○ 윤4월, 명을 받고 나주, 남원 등지를 순행하고 돌아오다. ○ 7월, 판중추부사가 되다.
선조 33 1600 40
봄, 훈련도감 도제조가 되다.
선조 34 1601 41
2월, 충청, 전라, 경상, 강원 4도의 도체찰사가 되어 성주에 개부(관아를 설치하고 속관을 둠)하다. ○ 4월, 대마도 왜사 귤지정(타치바나 토모마사)을 척퇴하다. ○ 5월, 피로 문관 강항의 소를 올리다. ○ 영천, 대구, 우수영을 순행하다.
선조 35 1602 42
봄, 영의정이 되다. ○ 3월, 조사 고천준을 배행하여 한강을 유람하다. ○ 여름, 왕명으로 호서의 무옥을 안치하다. ○ 11월, 도체찰사에서 체직되다.
선조 37 1604 44
응지 상소에 변양걸의 일을 언급, 엄교를 받고 면직되어 판중추부사가 되다. ○ 6월, 호성원종공신에 녹훈되다.
선조 38 1605 45
부친을 모시고 용진별서로 돌아가다.
선조 39 1606 46
3월, 영창대군의 탄생 하례에 참석하지 않다. ○ 4월, 조사 주지번과 한강을 유람하다. ○ 화답사 여유길 등이 일본으로 떠날 때 시를 지어 전송하다.
선조 41 1608 48
2월, 상이 위독하자 유교를 받들다. ○ 영중추부사가 되다. ○ 진주사에 차임되어 왕대비 주문을 받들고 황경으로 달려가 다섯 달 만에 책봉 황지를 받들고 오다.
광해군 1 1609 49
9월, 다시 영의정이 되다.
광해군 2 1610 50
윤3월, 광해군의 모 공빈의 추숭을 반대하다. ○ 7월, 오현의 문묘 종사를 건의하다.
광해군 3 1611 51
4월, 상차하여 정인홍이 이언적과 이황을 무함한 죄를 논하다. ○ 9월, 좌의정으로 강직되다.
광해군 4 1612 52
3월, 해서옥이 일어나자 위관이 되다. ○ 9월, 다시 영의정이 되다. ○ 11월, 익사형난공신(翼社亨難功臣)에 책훈되고 한원부원군(漢原府院君)에 봉해지다.
광해군 5 1613 53
여름 폐모론이 일어나자 이항복과 함께 극력 반대하다. 이 일로 삼사의 탄핵을 받고 그날로 용진으로 돌아가다. ○ 9월, 삭탈관작되다. ○ 10월 9일, 졸하다. 상이 부음을 듣고 곧 관작을 회복시키다.
광해군 6 1614 -
1월, 양근 중은동에 장사 지내다.
인조 8 1630 -
‘문익’의 시호를 받다.
인조 12 1634 -
장자 이여규가 문집을 간행하다. (이준의 발)
헌종 9 1668 -
손자 이상정이 문집을 중간하다. (조경의 서)
헌종 10 1669 -
9월, 상주 근암서원에 향사되다.
숙종 17 1691 -
포천서원에 향사되다. 익년 ‘용연’으로 사액되다.
고종 6 1869 -
봄, 영정을 상주 도남서원으로 옮기다. ○ 이즈음 부록 4권이 활자본으로 간행되다.

 

출처: 고전번역 종합DB, 한음문고, http://www.itkc.or.kr(검색일 : 2019. 08. 27)

'임시보관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경주이씨소개 백사공(白沙公)  (0) 2023.04.24
징비록 소트  (0) 2020.01.28
백사연보(白沙年譜)  (0) 2019.08.27

댓글